본문 바로가기

코딩/프로그래머스

[프로그래머스/JAVA] 코딩테스트 연습 > 2022 KAKAO BLIND RECRUITMENT주차 > 요금 계산 (by 다알쥐AI)

728x90
반응형

[요금 계산] 코딩테스트 연습 > 2022 KAKAO BLIND RECRUITMENT주차 > 요금 계산

 

틱톡라이트 초대링크  https://lite.tiktok.com/t/ZSjqX7SfC/

 

[기간 한정] 보는 재미로, 버는 재미로! 영상만 봐도, 좋아요만 눌러도, 검색만 해도, 포인트가 차

 

www.tiktok.com

 

 

※ 주의 : 문제풀이 방법은 다양합니다. 참고만 해주세요

[문제설명]

더보기

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(입차) 나간(출차) 기록이 주어졌을 때,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.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.

  • 요금표

 

  • 입/출차 기록

 

  • 자동차별 주차 요금

  •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    • 0000번 차량은 18:59에 입차된 이후,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. 따라서, 23: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.
  • 00:00부터 23:59까지의 입/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.
  • 누적 주차 시간이 기본 시간이하라면, 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.
  • 누적 주차 시간이 기본 시간을 초과하면, 기본 요금에 더해서,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 단위 시간 마다 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.
    • 초과한 시간이 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, 올림합니다.
    • ⌈a⌉ :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. 즉, 올림을 의미합니다.

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 fees, 자동차의 입/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 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 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 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fees의 길이 = 4
    • fees[0] = 기본 시간(분)
    • 1 ≤ fees[0] ≤ 1,439
    • fees[1] = 기본 요금(원)
    • 0 ≤ fees[1] ≤ 100,000
    • fees[2] = 단위 시간(분)
    • 1 ≤ fees[2] ≤ 1,439
    • fees[3] = 단위 요금(원)
    • 1 ≤ fees[3] ≤ 10,000
  • 1 ≤ records의 길이 ≤ 1,000
    • records의 각 원소는 "시각 차량번호 내역" 형식의 문자열입니다.
    • 시각, 차량번호, 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
    •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, HH:MM 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.
      • HH:MM은 00:00부터 23:59까지 주어집니다.
      • 잘못된 시각("25:22", "09:65" 등)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, `0'~'9'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.
    •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, IN 또는 OUT입니다. IN은 입차를, 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.
    •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.
    •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/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,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같은 시각에,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.
    • 마지막 시각(23:59)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•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,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    •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
      •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(차량번호가 같은 차량)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

입출력 예

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
 

입출력 예 #2

  • 요금표

 

  • 입/출차 기록

 

  • 자동차별 주차 요금

  • 3961번 차량은 2번째 입차된 후에는 출차된 내역이 없으므로, 23: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.

 

입출력 예 #3

  • 요금표

 

  • 입/출차 기록

 

  • 자동차별 주차 요금

  •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, 23: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.

[간단설명]

번호판별로 주차 요금 계산하기(번호판 오름차순)

 

[접근방법]

1. 임시Map을 하나 만든다.

2. 결과Map을 하나 만든다.

3. IN 명령어이면, 임시Map에 입차시간을 기록한다.

4. OUT 명령어이면, 결과Map에 주차시간(출차-입차시간)을 계산해서 넣는다(누적)

5. 임시Map은 지운다.

6. 임시Map이 비어있지 않으면,(IN만 있고, OUT이 없는경우),

     결과Map에 주차시간(23:59-입차시간)을 계산해서 넣는다(누적)

7. 결과Map의 ketSet을 리스트로 만들고, 오름차순 정렬한다.

8. keySet리스트를 반복하면서, 주차요금을 계산한다.

9. 정답 리스트에, 주차요금을 순서대로 넣는다.

10. 정답 리스트를 배열로 변환한다.

 

[주의사항]

1. 주차시간은 누적시간을 구해야한다.

ex) 06:00 1234 IN, 08:00 1234 OUT,  23:581234 IN

2. keySet을 반복할때, remove를 같이하면, 런타임 오류가 날 수 있다.

3. 주차요금 계산시 [](대괄호)는 올림 처리를 해야한다.

ㄴ> 분모는 double형으로 나누어주고, 나눈 결과는 Math.ceil 함수로 올림 처리를 해주자.

 

[소스공개]
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[] solution(int[] fees, String[] records) {
        // 임시Map
        Map<String,Integer> tmpMap = new HashMap<>();
        // 결과Map
        Map<String,Integer> resultMap = new HashMap<>();
        // 입출차 레코드 분리해서, inout시간 구하기 
        for(String input : records){
            // 입출차 레코드 분리
            String[] str = input.split(" ");
            String[] tmp = str[0].split(":");
            int hour = Integer.parseInt(tmp[0]);
            int minute = hour*60+Integer.parseInt(tmp[1]);
            String number = str[1];
            String inout = str[2];
            // IN이면 임시Map에 입차시간 넣기 
            if("IN".equals(inout)){
                tmpMap.put(number,minute);
            // OUT이면 결과Map에 누적시간(출차-입차시간) 넣기 
            // 임시Map 제거
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int ominute = minute-tmpMap.get(number);
                resultMap.put(number, resultMap.getOrDefault(number,0)+ominute);
                tmpMap.remove(number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// IN만 있고, OUT이 없는 경우, 23:59분에서 IN시간을 빼준다.
        // 다시 결과Map에 누적시간 더하기 
        if(!tmpMap.isEmpty()){
            for(String key : tmpMap.keySet()){
                int minute = 24*60-1;
                int ominute = minute-tmpMap.get(key);
                resultMap.put(key, resultMap.getOrDefault(key,0)+ominute);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// 결과Map의 key(번호판) 리스트 만들어서 오름차순 정렬 
        List<String> list = new ArrayList<>(resultMap.keySet());
        Collections.sort(list);
        // 정답 리스트
        List<Integer> answer = new ArrayList<>();
        // 각 번호판별 누적시간을 불러와서 요금 구하기 
        for(String key : list){
            int sum = calculator(fees, resultMap.get(key)); // 요금 구하기
            answer.add(sum);
        }
        // 정답 리스트를 배열로 변환
        return answer.stream().mapToInt(Integer::intValue).toArray();
    }
    
    // 요금 구하기 
    public int calculator(int[] fees, int minute){
        // 요금 레코드 분리
        int bTime = fees[0];
        int bFee = fees[1];
        double uTime = Double.valueOf(fees[2]); //나누기 해야되서 double로 
        int uFee = fees[3];
        int sum = 0;
        // 누적시간이 기본시간 이내이면
        if(bTime>minute){
            sum = bFee; // 기본 요금만 받는다 
        // 누적시간이 기본시간보다 크면 
        }else{
            // 기본요금 + (int)[(올림)((누적시간-기본시간)/(double)단위시간)] * 단위요금
            sum = bFee+(int)Math.ceil((minute-bTime)/uTime)*uFee;
        }
        return sum;
    }
}

 

[실행결과]

 

 

 

 

반응형